3D프린팅 과정을 알아보자
- 최완기
- 2014년 1월 26일
- 1분 분량
3D프린팅 과정은 크게 5단계로 나누어볼 수 있습니다. 각 단계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볼까요?

O1 아이데이션 먼저 3D프린터를 통해 어떠한 아이디어를 구현할 것인지에 대한 구상이 필요합니다. 3D프린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3D프린터가 아니라 창의적이고 가치 있는 발상이라는 점을 잊지 말도록 합시다.

O2 3D모델링
3D모델링 과정에서는 컴퓨터 그래픽 설계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물체의 모양을 3차원으로 구성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CAD와 같은 3차원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직접 3차원 데이터를 완성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나, 3D스캐너를 이용해 3차원 데이터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모델링 소프트웨어와 기기 간의 표준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STL 파일 형식이며, 3D스캐너로 생성된 파일은 PLY 파일 형식을 사용합니다.

3D 모델링 단계
O3 슬라이싱
3D모델 데이터는 본격적인 출력에 앞서 슬라이서(Slicer)라 불리우는 프로그램을 통해 여러 개의 얇은 층으로 나뉘어진 데이터로 변환되며, 변환작업 및 출력에 관련된 세팅이 마무리 되면 3D프린터가 읽을 수 있는 G-code 파일로 저장합니다.

슬라이싱 단계
O4 3D프린팅
슬라이싱 프로그램을 통해 만들어진 G-code 파일을 프린터에 넣고 출력을 하면 G-code 파일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3D프린터가 출력을 하게 됩니다. 같은 출력물이라도 레이어의 두께나 채움 정도 등의 세팅 값에 따라 출력시간은 큰 차이를 보입니다. 출력 과정은 출력 방식과 모델의 크기와 복잡성에 따라 몇 시간에서 며칠 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3D프린팅 단계
O5 후처리 및 도색 출력이 완성되면 출력물의 지지를 위해 함께 출력했던 서포터나 Brim, Raft등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도록 합니다. 출력 직후에 출력물의 상단이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만지게 되면 출력물이 변형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출력물의 표면을 사포와 같은 샌딩도구를 사용해서 매끄럽게 처리한 후에 도색 및 조립을 통해 최종 결과물로 완성합니다. 후가공이 많이 필요한 출력물일 경우에는 샌딩 작업이 잘 되는 ABS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행과제 03 3D프린팅 과정에 대한 궁금증 3D프린팅 과정에 대한 설명을 읽으면서 궁금했던 점, 더 알고 싶은 점이 있다면 남겨주세요. 여러분들의 궁금증을 라이브세미나 Q&A를 통해 해결해드리겠습니다.
과제 수행하기

Comments